2025년 하반기부터 전기요금과 도시가스 요금이 인상될 예정입니다.
하지만 정부와 지자체는 에너지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다양한 지원제도를 운영 중이에요.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부터 장애인, 다자녀·출산 가정까지—
최대 약 20만 원 수준의 연간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확인하고 놓치지 않도록 준비해보세요.
1. 어떤 지원이 있나요?
제도명 | 대상 | 혜택 내용 |
에너지바우처 |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 | 연 20만 원 이상 (세대원 수에 따라 차등 지급) |
전기요금 감면제도 | 장애인, 국가유공자, 다자녀·대가족 등 | 월 8천원~1만6천원 또는 주택용 요금의 최대 30% 할인 |
긴급에너지지원 | 지역 지자체 긴급 지원대상 가구 | 최대 10만 원 현금 또는 선불카드 지원 |
한전 요금지원 연계 | 실직 또는 저소득층 가구 | 4~6개월간 자동 요금 할인 적용 |
- 에너지바우처는 동절기·하절기 구분 없이 연간 기간 내 자유롭게 사용 가능하며
- 전기요금 감면은 여름철 (7~9월)에 감면액이 상향 조정됨
- 긴급지원은 지역별로 예산이 조기 소진될 수 있어 빨리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신청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 에너지바우처
- 신청 기간: 2025년 6월 9일 ~ 12월 31일
- 사용 기간: 2025년 7월 1일 ~ 2026년 5월 25일 (하절기·동절기 구간별 사용)
- 신청 방법: 주민센터 방문 또는 복지로 온라인 신청
- 전기요금 감면제도
- 신청 방식: 한전 사이버지점 또는 고객센터(123) → 신청 다음 달부터 감면 적용
- 필요 서류: 주민등록등본, 장애인등록증/복지카드 등
- 긴급에너지지원 및 한전 연계할인
- 신청처: 시·군·구 복지센터 또는 한전 고객센터
- 지원은 지자체 예산범위 내로 조기 마감될 수 있음
3. 지급 방식은?
제도 | 지급 방식 |
에너지 바우처 | 전기요금 또는 도시가스 요금 고지서에서 차감 |
전기요금 감면 | 매월 고지서에 자동 할인 처리 |
긴급지원 | 현금 계좌 입금 또는 선불카드 형태로 즉시 지원 |
한전 요금할인 연계 | 자동 감면 처리 (중복 감면 불가) |
4. 유의사항 & 활용 팁
- 에너지바우처는 계절별 신청 필요: 하절기와 동절기 각각 신청 구분
- 중복 지원 불가능한 경우가 있으므로, 신청 전 자신 조건과 제도 조합을 확인하세요
- 자동 감면이라고 해도 최초 신청은 필수입니다
- 지자체 긴급지원은 예산 조기소진 가능성 크므로 빠른 신청 권장
▶ 한눈에 요약
항목 | 내용 |
받을 수 있는 총 혜택금액 | 연 최대 약 20만 원 (제도 및 조건 따라 차등 지원) |
지원 대상 | 기초·차상위 수급자, 장애인, 다자녀, 대가족, 유공자 등 |
신청 기간 | 에너지바우처: 6/9 ~ 12/31, 전기 감면: 상시 신청 가능 |
신청 방식 | 주민센터/복지로, 한전 고객센터 또는 온라인 접수 |
지급 방식 | 고지서 차감 / 계좌 입금 / 선불카드 등 |
유의사항 | 계절별 신청, 초기 등록 필수, 중복지원 여부 확인 필요 |
▶ 참고 링크 모음
"무더위도, 요금 인상도
피할 수는 없어도 덜어낼 수는 있어요.
바쁘더라도 한 번 신청해두면
매달 전기·가스 요금 고지서가 더 가벼워질 수 있어요.
지금 바로 대상 조건을 체크하고, 작은 지원이라도 꼭 챙겨보세요."
'생활 혜택 다이어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의점에서 공짜로 얻는 법 – 포인트·쿠폰 총정리 (2025년 8월 기준) (1) | 2025.08.21 |
---|---|
따릉이 24시간 무료 이용하는 법 (0) | 2025.08.20 |
기프트카드, 정가에 사면 손해예요 5~15% 저렴하게 사는 법 (1) | 2025.08.19 |
긴급복지지원 제도, 갑작스러운 위기 상황에 최대 500만 원 지원받는 법 (2025년 최신 정보) (3) | 2025.07.31 |
국민내일배움카드, 2025년 자격·지원금 총정리_최대 500만 원 가능 (2025년 최신 정보) (2) | 2025.07.31 |
2025년 하반기 지역사랑상품권, 최대 15% 할인 시작! (2025년 최신 정보) (6) | 2025.07.31 |
지하철·버스 요금 오른다더니? 교통지원금으로 환급받는 법 (2025년 최신 정보) (1) | 2025.07.31 |
민생회복 소비쿠폰, 15만 원부터 최대 55만 원까지 받는 법 총정리 (2025년 최신 정보) (2) | 2025.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