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금을 받을 때마다 "계산이 맞는 걸까?" 하는 의문이 든 적 있나요?
퇴직금은 근로자가 일한 기간과 평균 임금을 기준으로 계산되지만, 복잡하게 느껴져서 정확히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 퇴직금 계산법을 아주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1. 퇴직금 계산의 기본 공식 이해하기
퇴직금은 계속 근로기간 1년에 대해 30일분 이상의 평균임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 공식: 퇴직금 = (1일 평균임금 × 30일) × 계속 근로기간 (년)
- 1일 평균임금: 퇴직 직전 3개월 동안의 임금 총액 ÷ 퇴직 직전 3개월 총 일수
- 계속 근로기간: 입사일부터 퇴사일까지의 총 일수를 365로 나눈 값
- 법제처_찾기쉬운 생활법령정보: '퇴직금 지급' 참고
- 예시:
- 월급 300만 원인 근로자가 3년(1,095일) 근속 후 퇴직하는 경우
- 1일 평균임금: (300만 원 × 3개월) ÷ 92일 (3개월 총 일수) = 약 97,826원
- 퇴직금: (97,826원 × 30일) × 3년 = 약 8,804,340원
2. 퇴직금 계산 시 포함·제외 항목 구분하기
퇴직금 계산의 핵심은 '평균임금'에 어떤 항목이 포함되는지 아는 것입니다.
- 포함 항목:
- 기본급: 매월 고정적으로 지급되는 임금.
- 정기적·고정적 수당: 직책수당, 기술수당, 가족수당, 연차수당 등 매월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수당.
- 연차휴가수당: 퇴직하기 전전년도 연차휴가를 사용하지 않아 지급받은 수당.
- 제외 항목:
- 비정기적 상여금: 3개월마다 지급되는 상여금 등 비정기적인 성격의 급여.
- 실비 변상적 성격의 금액: 교통비, 식비 등 실제 지출 비용을 보전해 주는 금액.
- 복리후생비: 경조사비 등 근로자의 복지 증진을 위한 금액.
3. 알바·계약직도 퇴직금 받을 수 있을까?
네, 받을 수 있습니다.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에 해당하는 경우, 근무 형태에 관계없이 퇴직금을 받을 자격이 주어집니다.
퇴직금 지급 조건:
- 주 15시간 이상 근무: 4주를 평균하여 1주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이어야 합니다.
- 1년 이상 근속: 입사일로부터 퇴사일까지의 계속 근로기간이 만 1년 이상이어야 합니다.
(※ 주 15시간 미만 근로자는 법적으로 퇴직금 지급 의무가 없습니다.)
4. 퇴직금 계산 쉽게 확인하는 온라인 도구
복잡한 계산 없이 나의 퇴직금을 미리 확인하고 싶다면 온라인 계산기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 고용노동부 퇴직금 계산기:
- 경로: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 [정책정보] → [알림·자료] → [퇴직금 계산기]
- 사용법: 입사일, 퇴사일, 퇴직 직전 3개월의 임금 총액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예상 퇴직금이 산정됩니다.
- 주의사항: 계산 결과는 참고용이며, 실제 지급액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확인 후 실제 지급액과 차이가 크다면, 사업장에 문의하거나 관할 고용노동청에 상담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한눈에 요약
구분 | 내용 |
계산 공식 | 1일 평균임금 × 30일 × (재직일수 ÷ 365) |
평균임금 산정 | 퇴직 직전 3개월 임금 총액 ÷ 총 일수 |
지급 대상 | 주 15시간 이상 & 1년 이상 근로자 |
확인 방법 | 고용노동부 퇴직금 계산기 활용 |
"내 권리는 스스로 챙길 때 지켜집니다"
퇴직금은 노동자의 권리이자, 당신이 일한 시간의 대가입니다.
계산법만 알면 어려울 것 하나 없고, 온라인 도구로도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내 권리를 정확히 아는 것, 그것이 내 돈을 지키는 첫걸음입니다.
'알아두면 돈 되는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말정산 절세 팁, 생활비·의료비 공제 총정리 (2) | 2025.08.11 |
---|---|
월급 관리, 통장 쪼개기+자동저축 방법 (초보도 바로 가능) (1) | 2025.08.10 |
ETF와 펀드 차이, 초보를 위한 분산투자 시작법 (3) | 2025.08.09 |
적금·예금·CMA 차이, 금융 초보의 첫 통장 가이드 (2) | 2025.08.08 |
신용점수 올리는 습관과 대출 이자 구조 이해하기 (1) | 2025.08.07 |
알바·계약직 필수 노동법 4가지, 꼭 알아두세요 (1) | 2025.08.06 |
복리·단리·ETF 뜻과 차이, 금융 초보도 쉽게 이해하기 (3) | 2025.08.05 |
숨은 환급금 찾는 방법, 2025년 최신 조회 사이트 4곳 (2) | 2025.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