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nglish Post (영어 포스트)/Everyday Korean (생활 속 한국어)

A Guide to Saying "No" in Korea, Without Saying "No" (한국에서 "아니요"라고 말하지 않고 거절하는 방법)

by 걷어낸구름 2025. 9. 26.

(Why “aniyo” isn’t always enough)

You want to say “no.” But in Korea, saying aniyo (아니요) can feel too direct. Sometimes, it’s not what you say— but how softly you say it, or how much you don’t say at all.


Common Ways to Say “No” (Without Saying “No”)

Korean Expression Pronunciation Meaning / Use
아니요 aniyo Direct “no” (can sound blunt)
괜찮습니다 gwaenchanseumnida “I’m okay” / polite refusal
다음에요 daeume-yo “Maybe next time”
죄송하지만… joesonghajiman… “I’m sorry, but…”
지금은 좀… jigeumeun jom… “Right now is a bit…” (soft decline)

What Foreigners Often Miss

  • Saying aniyo directly can feel too strong or cold
  • Koreans often use soft refusals to avoid awkwardness
  • Phrases like gwaenchanseumnida or jigeumeun jom… help maintain harmony
  • Even silence or hesitation can signal a polite “no”

Real-Life Examples

  • At a store: You’re offered a free sample. Instead of “No thanks,” say 괜찮습니다 (gwaenchanseumnida) with a smile.
  • At work: You’re asked to join a dinner you can’t attend. Try 죄송하지만 오늘은 좀 어려울 것 같아요 (joesonghajiman oneureun jom eoryeoul geot gatayo) → “I’m sorry, but today might be a bit difficult.”
  • With friends: You’re invited out but want to stay in. Say 다음에 꼭 같이 해요! (daeume kkok gachi haeyo) → “Let’s definitely do it next time!”

Final Thought

In Korean, saying “no” isn’t just about refusing. It’s about preserving the relationship while expressing your boundary. So next time you want to say “no,” try saying “maybe later,” “I’m okay,” or “I’m sorry, but…” You’ll sound more natural—and more Korean.


(‘아니요’만으론 부족할 때가 있어요)

외국인들이 처음 배우는 거절 표현은 “아니요”. 하지만 한국에서는 이 말이 너무 직설적이고 차갑게 들릴 수 있어요.

때로는 말보다 말투, 표정, 분위기가 더 중요하죠. 한국어에서의 거절은 관계를 유지하면서 부드럽게 선을 긋는 기술이에요.


자주 쓰이는 부드러운 거절 표현

표현 발음 의미 / 사용 상황
아니요 aniyo 직접적인 거절 (상황에 따라 부담스러울 수 있음)
괜찮습니다 gwaenchanseumnida “괜찮아요” / 정중한 거절
다음에요 daeume-yo “다음에요” / 다음 기회를 암시
죄송하지만… joesonghajiman… “죄송하지만…” / 공손한 거절의 시작
지금은 좀… jigeumeun jom… “지금은 좀…” / 부드러운 회피 표현

외국인이 자주 놓치는 부분

  • “아니요”는 너무 단호하게 들릴 수 있어요
  • 한국어에서는 완곡한 표현을 통해 거절하는 경우가 많아요
  • “괜찮습니다”, “지금은 좀…” 같은 표현은 상대방의 기분을 고려한 말투예요
  • 때로는 말을 하지 않고 미소나 머뭇거림으로 거절을 표현하기도 해요

실제 상황 예시

  • 가게에서 시식 권유를 받을 때 → “괜찮습니다”라고 웃으며 말하면 자연스러워요
  • 회사에서 회식 제안을 받았지만 참석이 어려울 때 → “죄송하지만 오늘은 좀 어려울 것 같아요” (joesonghajiman oneureun jom eoryeoul geot gatayo)
  • 친구가 약속을 잡자고 할 때, 피하고 싶다면 → “다음에 꼭 같이 해요!” (daeume kkok gachi haeyo) → 거절이 아니라 다음 기회를 약속하는 말투

마무리

한국어에서의 거절은 단순한 ‘No’가 아니라, 관계를 지키는 기술이에요.

“괜찮습니다”, “죄송하지만…”, “다음에요” 같은 표현은 상대방을 존중하면서도 나의 의사를 전달하는 방법이에요.

다음에 거절해야 할 상황이 오면 그냥 “아니요”라고 말하기보다 부드럽게, 천천히, 그리고 따뜻하게 표현해보세요. 그게 바로 한국어다운 거절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