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one word helps you survive in Korea)
You walk into a convenience store. You want water. You say “water.” The clerk stares at you.
Now try: Mul juseyo (물 주세요). Suddenly, everything works.
In Korea, juseyo (주세요) is more than “please.” It’s a polite request, a soft command, and a survival tool.
Common Uses of “juseyo”
Korean Phrase | Pronunciation | Meaning / Use |
물 주세요 | mul juseyo | “Water, please” |
영수증 주세요 | yeongsujeung juseyo | “Receipt, please” |
조금만 주세요 | jogeumman juseyo | “Just a little, please” |
추천 좀 해주세요 | chucheon jom haejuseyo | “Please recommend something” |
이거 주세요 | igeo juseyo | “I’ll take this one” |
What Foreigners Often Miss
- Saying just the item name (e.g., “water”) can sound abrupt
- Juseyo softens the tone and shows respect
- Adding juseyo turns a demand into a request
- It’s used everywhere: stores, restaurants, taxis, even hospitals
Real-Life Examples
- At a restaurant: You want more side dishes. Say banchan jom juseyo (반찬 좀 주세요) → “Some more side dishes, please”
- At a pharmacy: You need cold medicine. Say 감기약 주세요 (gamgi-yak juseyo) → “Cold medicine, please”
- At a market: You’re pointing at strawberries. Say 이거 주세요 (igeo juseyo) → “I’ll take this one”
Final Thought
Juseyo is simple, but powerful. It helps you get what you need— while keeping things polite, warm, and culturally appropriate.
So next time you’re in Korea, don’t just say “coffee.” Say keopi juseyo (커피 주세요). You’ll be understood—and app
(가장 간단하지만 가장 강력한 표현)
편의점에 들어가서 물을 찾는다. “물.” 직원이 멀뚱히 쳐다본다.
이제 이렇게 말해보자. “물 주세요.” 모든 게 자연스럽게 흘러간다.
한국어에서 “주세요”는 단순한 “please”가 아니다. 존중, 요청, 분위기, 관계까지 담고 있는 생활 속 생존 표현이다.
자주 쓰이는 ‘주세요’ 표현
표현 | 발음 | 사용 상황 |
물 주세요 | mul juseyo | 물을 주문하거나 요청할 때 |
영수증 주세요 | yeongsujeung juseyo | 계산 후 영수증 요청 |
조금만 주세요 | jogeumman juseyo | 양을 조절해서 요청할 때 |
추천 좀 해주세요 | chucheon jom haejuseyo | 메뉴나 상품 추천 요청 |
이거 주세요 | igeo juseyo | 물건을 고르고 구매할 때 |
외국인이 자주 놓치는 부분
- 그냥 “물”이라고 말하면 명령처럼 들릴 수 있음
- “주세요”를 붙이면 부드럽고 예의 있게 들림
- 한국에서는 요청할 때 말투와 존댓말이 중요함
- 식당, 편의점, 병원, 택시 등 모든 곳에서 쓰이는 표현
실제 상황 예시
- 식당에서 반찬을 더 달라고 할 때 → “반찬 좀 주세요” → 직접적이지 않으면서도 자연스러운 요청
- 약국에서 감기약을 찾을 때 → “감기약 주세요” → 필요한 것을 정확하게, 예의 있게 전달
- 시장이나 편의점에서 물건을 고를 때 → “이거 주세요” → 손으로 가리키며 말하면 더 자연스러움
마무리
‘주세요’는 짧지만 강력하다. 무언가를 얻고 싶을 때, 관계를 지키면서 요청하는 가장 한국적인 방식이다.
다음에 한국에서 커피를 주문할 일이 있다면 그냥 “커피”라고 말하지 말고 “커피 주세요”라고 해보자. 그 한마디에 존중과 따뜻함이 담겨 있다.
'English Post (영어 포스트) > Everyday Korean (생활 속 한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A Guide to Saying "No" in Korea, Without Saying "No" (한국에서 "아니요"라고 말하지 않고 거절하는 방법) (0) | 2025.09.26 |
---|---|
Real-Life Korean: The Subtle Art of Saying "Hello" (실생활 한국어: '안녕하세요'에 담긴 미묘한 예술) (0) | 2025.09.25 |